임신 주수 | 진찰 주기 |
---|---|
임신 4주 ~ 27주 | 4주 마다 |
임신 28주 ~ 35주 | 2주 마다 |
임신 36주 ~ 출산 | 매주 |
임신 주수 | 검사 항목 |
---|---|
10주 전 | ▶ 질 초음파 4 ▶ 임신 초기 기본 혈액 및 소변검사(혈액형, 빈혈, 간기능, 간염A, 간염B, 매독, 에이즈검사) ▶ 풍진검사 ▶ 갑상선기능검사 1 ▶ 비타민D 검사 1 ▶ 자궁경부암 검사 2 * Option → 취약X 증후군 검사(산전 정신지체 선별검사) 3 → 톡소플라즈마검사 3 |
11-14주 | ▶ 복부 초음파 4 → 인테그레이티드 1차 검사 3 * Option → NIPT 검사 (비침습적 산전 검사) 3 |
15-19주 | ▶ 복부 초음파 → 인테그레이티드 2차 검사 3 or 쿼드 검사 (양수검사 : 양수검사 적응 산모) 3 → 정밀초음파 검사 4 |
20-24주 | ▶ 복부 초음파 * Option → 입체초음파 검사 4 |
25-28주 | ▶ 복부 초음파 → 임신성 당뇨검사 → 비타민D 검사 1 → 임신 중기 빈혈검사 |
29-32주 | ▶ 복부 초음파 |
33-35주 | ▶ 복부 초음파 → 임신 말기 혈액검사 (제왕절개예정 : 수술 전 검사) (빈혈, 간염 C 검사, 불완전 항체 검사, 간기능 검사) → 태동검사 5 |
36-출산 | ▶ 복부 초음파 → 태동검사 5 |
정상인 어머니라도 정신지체아 출산 예방을 위해 검사하는 것이 좋습니다. 첫 임신 때 한 번만 검사하면 됩니다.
검사 방법은 산모의 혈액 또는 모발로 검사하며, 검사 권장 시기는 임신 전 또는 임신 9-16주 사이가 좋습니다. (보인자인 경우에 임신16-18주 사이에 양수검사를 받아야합니다.)임신 직전 또는 임신 후 감염이 되면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되어 초기에는 유산, 그 이후에는 뇌, 눈 등 여러 장기에 심한기형 및 저능아를 초래합니다.
그러므로, 고양이를 키우거나 도둑고양이의 배설물이 있는 공원의 모래 등을 접하는 임신 전 여성과 임산부는 이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. 임신 전 톡소플라스마 항체검사를 시행하여 현재 감염된 상태라면(lg-M 항체 양성) 임신은 6개월 정도 미루어야 합니다.이후에는 특별한 치료 없이 임신을 준비하셔도 됩니다.
임신 초기에 감염되었다면 산부인과 전문의와 추후 검사를 상의해야 합니다.검사/다운증후군 | 발견율 | 위양성율 | 특이도 |
---|---|---|---|
NIPT | 99% | 0.1% | 99.9% |
인테그레이 | 92% | 5% | 99% |
산모나이 / 염색체 | 21 | 18 | 13 | 45x | 47xxy |
---|---|---|---|---|---|
20 | 48 | 14 | 6 | 41 | 29 |
25 | 51 | 15 | 7 | 41 | 29 |
30 | 61 | 21 | 10 | 41 | 29 |
35 | 78 | 39 | 21 | 41 | 30 |
40 | 93 | 69 | 50 | 41 | 52 |
45 | 98 | 90 | - | 41 | 77 |
검사/다운증후군 | 발견율 | 위양성율 | 특이도 |
---|---|---|---|
NIPT | 99% | 0.1% | 99.9% |
인테그레이 | 92% | 5% | 99% |
산모나이 / 염색체 | 21 | 18 | 13 | 45x | 47xxy |
---|---|---|---|---|---|
20 | 48 | 14 | 6 | 41 | 29 |
25 | 51 | 15 | 7 | 41 | 29 |
30 | 61 | 21 | 10 | 41 | 29 |
35 | 78 | 39 | 21 | 41 | 30 |
40 | 93 | 69 | 50 | 41 | 52 |
45 | 98 | 90 | - | 41 | 77 |